PER(퍼, 피이알)은 현재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값. 즉, 주가가 순이익의 몇배인지 알 수 있다.

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EPS는 Earning Per Share는 기업의 당기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눈 값. 즉, 주당순이익이란 1주당 벌어들인 순이익이다.

EPS = 당기순이익 / 주식수

 

  • PER는 주식이 비싼지 싼지를 판단하는 기준이다. 
  • 순이익 * PER를 통해 시가총액을 알 수 있다.
  • PER가 낮을 수록 저평가 종목이라 한다. 
  • PER 10을 주고 당해년 전체 순이익이 100억이라면 시총은 10 * 100 = 1000억이 된다. 
    • 주의할 것은 시총이 높을 때 PER가 높은지, 전체 순이익이 높은지 살펴야 한다. 
    • 순이익은 적지만 PER가 높은 것이 있고, 순이익은 많은데 PER가 낮은 경우가 있다. 
  • 시가총액 = 당기순이익 * 멀티플(Multiple)
  • 멀티플은 산업군에 적용되는 시가총액별 배수라고 보면 좋을듯 하다. 보통 제조쪽은 멀티플 10을 본다. 만일 기업의 멀티플을 모른다면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율)를 활용한다. 

 

슈퍼케이 김정환님의 멀티플 계산하기

www.youtube.com/watch?v=Ny0kYmPay80

  • 기업의 버는 돈 대비 얼마의 비율을 줘야 시가총액이 되느냐? 
    • 시가총액 = 버는돈(1년 순이익) * 멀티플
    • 멀티플에 ROE(자기자본이익율)를 적용하면 성장성을 보는 것이다. 즉, 성장율 ROE가 높다면 멀티플이 높다.
  • 멀티플을 찾는 가중치들
    • 성장성: 매출액이 지속늘고, 고정비가 감소하면 자연 이익은 증가한다.
    • CEO 마인드
    • 기술적 혜자, 특허 보유와 내용
  • 멀티플의 기본베이스는 10이다. 즉, 10년동안 현재의 순이익을 벌면 시가총액이 된다. 비록 10이지만 성장성을 통해 이를 줄여나갈 수 있는 기업을 찾는다.
  • 멀티플은 끊임없이 기업을 공부해야 줄 수 있는것이지 일괄로 제시할 수 없다. 

 

나 자신의 멀티플에 몇을 줄 수 있는가? 50!!!

 

<참조>

brunch.co.kr/@thecapitalist/62

 

# 37. 주식투자 필수 개념 - PER

이 기업의 주가는 싼가, 비싼가를 알려주는 지표 | 의사들은 의사들의 언어가 있고, 변호사들은 변호사들의 언어가 있듯이 주식투자자들에게도 주식투자자들의 언어가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

brunch.co.kr

www.youtube.com/watch?v=Jn2_jOQnqUo

www.youtube.com/watch?v=IxJZYv2JsYY

www.youtube.com/watch?v=sOYlVZ_zbDo

 

재택을 하면서 다시 건담베이스에 관심을 갖게되었다. 몇년전 RG사이즈(소형) 모델을 하루종일 조립하며 중딩때 아카데미의 탱크, 오토바이를 조립하던 추억이 떠올랐었는데 후배의 소개로 MG사이즈(중형)의 메탈소재 뼈대를 가진 메타빌드 모델에 대해 알게 되었다. 후배가 가지고 있던 두개의 MG 모델을 분양받고, 조립제품도 두개 구매를 하여 장식장이 필요하게 되었다. 장식장을 서재에 놓기로 마음먹고 적당한 장식장을 몇일 조사를 해보았다. 

 

에버딘 장식장

 

안에 LED가 들어오는 장식장을 찾아보았는데, 도저히 서재의 가구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았다. 서재에서 케이브홈의 베테르 아웃도어 테이블을 사용하고 있다. smartstore.naver.com/kavehome/products/4615400026

 

[케이브홈] VETTER 베테르 아웃도어 테이블 <1600/2000> : 케이브홈

[케이브홈] 스페인 바르셀로나 토탈리빙 디자인 가구 브랜드

smartstore.naver.com

서재에 있는 케이브홈 베테르 아웃도어 테이블

 

케이브홈의 장식장을 다시 기웃거려 보았더니, MG사이즈 장식장으로 딱 맞을 것 같은 케이브홈의 아룬델 장식장을 찾게되었다. 

smartstore.naver.com/kavehome/products/4637591797

 

[케이브홈] ARUNDEL 아룬델 원목 책장&장식장 : 케이브홈

[케이브홈] 스페인 바르셀로나 토탈리빙 디자인 가구 브랜드

smartstore.naver.com

장식장 하나에 4~5개의 MG모델을 놓을 수 있을 것 같아서, 아룬델 장식장 두개를 구매하여 테이블 좌측 벽면에 배치해 보았다. 현재는 MG 모델 두개를 상단에 작은 너비 공간에 RG사이즈의 건담을 배치했다. 

 

아룬델 책장 두개를 붙인 모습과 건담 디피

 

아룬델 장식장을 처음 받아보고, 자연 그대로의 원목을 사용하여서 군데 군데 움푹 들어간 곳도 있는 것에 신선한 충격을 받았다. 이렇게 원목 그대로 장식장을 만들 수 있다니는 사실에 말이다. 메타빌드 건담의 차가움과 은근 잘 어울린다. 

 

바닥이 움푹 들어간 모습
바닥에 재미난 결이 보인다.
나무결이 그대로 드러남

 

건담베이스와 피규어를 디피하고, 밑에는 책을 꽂아 사용하고 있지만 MG건담이 늘어나면 건담 & 피규어 장식장으로만 사용할 계획이다.

 

 

케이브홈의 원목 가구에 답이있다. 

815머니톡의 박성현저자가 출현하여 이야기한 주식 투자 원칙이 그간 내가 수행하였던 몇가지 실험과 일치한다. 

www.youtube.com/watch?v=Ctn0uEAlv4U

7개의 계좌로 나누고 

1번에 장투종목 20개가량 매수, 하락 종목 발생 경우

2번에 하락 종목 같은 금액으로 추매, 다시 하락 종목 발생

3번에 하락 종목 같은 금액으로 추매 이를 7번계좌까지 반복한다.

2~7번까지는 단타 계좌, 1번만 장투 계좌이다. 

 

나의 경우 4개의 계좌를 한증권사에 가지고 있고,

계좌별로 섹터를 나누어 투자하지만 몇 종목은 2개의 계좌에 담고 더 오른 것을 팔곤 했는데, 장점은 심적 부담이 적다는 것과 계좌 분리로 인해 같은 종목도 가격차이로 다른 종목처럼 느껴진다는 것이다. 세븐 스플릿의 원칙에 따라 투자 방식을 좀 더 구체화하여 실험해 보도록 한다. 

 

  • 1번계좌
    • 종목 20개전후
    • 1종목당 투입금액의 25% 자금투입
    • 100% 수익
    • 장투: 3년이상
  • 2번계좌
    • 1번계좌 종목
    • 1종목당 투입금액의 25% 자금투입 
    • 50% 수익
    • 중투: 1년이상
  • 3,4번계좌
    • 1/2/3/4번계좌 종목
    • 1종목당 투입금액의 25% 자금투입
    • 20% 이하 수익
    • 단타: 1년이하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