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투자 어떻게 할 것인가?
2020년 1월 1일 새해이다. 살아온 날들보다 살아올 날들이 더욱 기대되는 한해가 될것이다. 자본가의 길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공부가 필요하고 투자를 대하는 기본 마음가짐이 중요하다. CAMI를 통해 2020년 투자 마인드를 다시 새겨본다.
CAMI가 보는 투자 마인드
224 투자의 시대 - 주식단타가 정말 당신을 부자로 만들어 줄까?
- 11:50 당신이 무언가를 바란다면, 그 무언가를 이룬것처럼 행동하라.
돈의 크기에 상관없이 원하는 목표의 돈을 다루고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부자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라
- 13:20 정주영이 은퇴할려고, 자유로워질려고 사업을 하는가?
돈의 액수가 적어도 부자로 시작하라. 예로 1천만원이 백억인것 처럼 투자하라
이런 생각을 하면 단타를 칠 수 있겠는가?
- BNF처럼 단타를 통해 부자가 된들 과연 행복할까? 그냥 돈 많이 버는 게임 오타구 아닐까?
단기적 트레이딩은 자기자신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다. 장기적으로 보질 못하는 것이다.
- 18:20 투자는 무쏘의 뿔처럼 혼자가는 것이다.
사유를 통해 스스로 해쳐나가야 한다. 기업에 대한 이해, 자본/자신에 대한 이해, 유통에 대한 이해, 시장을 이해해야 한다.
워렌버핏같은 대가들과 함께하는 주식시장이다.
직접 투자를 통해 경험하고 공부해야 한다. 좋은 멘토와 공부를 통해 배워나가야 한다.
- 24:20 떨어지는 것을 무서워하지 말고, 떨어지기 때문에 이익이 있는 것이다.
손해를 통해 이익을 얻는 것이다.
- 기업들은 살기위해 엄청나 도전을 하고 있다. 우리는 투자를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가?
장기적인 큰 부를 이루려 하는데 왜 스스로 기간을 정하고 단기 투자를 통해 죽으려 하는가?
단타를 친다는 것은 매일 죽는 것이다.
- 31:00 포트폴리오에 대한 이해를 해야 한다.
포트폴리오에 대한 철학이 있어야 한다.
- 33:00 시장, 자본을 깨닫기 위한 열정을 통해 투자를 해야 한다. 넓게 보아야 한다.
삶은 죽음을 낳고, 죽음은 삶을 낳는다.
상승미소가 보는 2020년 자본의 움직임
스마트 자본의 움직임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2020년 현재 자본의 흐름이 어떻게 흘러갈지 상승미소님의 영상을 통해 알아보자.
- XAU가 오르고 있다. 금가격이 오를것 같다.
- 2:00 2020년 위기를 가져올 수 있는 3가지
경제위기가 아니라 2020년 투자를 대하는 자세와 실물 경제의 움직임을 알아보자.
- 실물경제, 금융 자산 가격, 잘 못된 통화 정책에 반영때문에 경제의 취약성이 있어 보인다.
- 5:11 취약성의 근원은 중앙 은행의 과도한 통화 유통(팽창)정책이다. 미국 FRB, ECB, BOJ 현재 위기이전의 3.5배 수준이다.
- 8:11 2008년부터 2018년까지 10조 풀었지만 5.3조만 GDP에 가고, 나머지 4.7조달러는 부동산,주식 상승으로 갔다.
양적 축소 또는 금리를 인상하면 주가가 급락한다. 주가를 올리려면 양적 완화와 금리를 내려야 한다.
언제까지 유동성을 퍼부을 것인가?
- 12:29 현재 글로벌 경제 시스템은 중앙은행의 부채로 지탱되고 있다.
중앙은행의 대차대조표가 줄면(양적 축소) 주가는 여지없이 떨어졌다. 현재 미국은 Repo시장에 돈을 버붓고 있다.
위기 발생 여부는 유동성 확충 여부에 달려있다.
- 15:50 2020년은 반도체와 골드 투자
경제위기가 발생하면 유동성 확충해야 하고, 유동성 추가로 자산 버블이 와도, MMT(인플레없으면 돈찍어 유지하기) 를 추진해도 Gold가 영향을 받는다. 오른다면 연간 약 10%가량 (1,700달러) 예상한다. 스마트 머니는 현재 뉴먼트 골드를 사고 있다.
- 18:58 달러화 인덱스는 200일선을 하락했다.
현재 원달러 환율이 1156원가량으로 12월대비 20원가량 하락했으니 원화가 강세로 돌아섰고, 스마트 머니는 우리나라와 같은 신흥국 시장으로 자본을 풀것이다. 여러 투자자산에 대한 2020년 전망을 다시 살펴보자.
Black이 바라보는 2020년 자산의 방향
- 금리인하하면 달러 상승, 경제가 좋아지면 달러 하락
대외악제면 달러 상승, 대외호제면 달러 하락
- 4:00 달럭인덱스 차트와 함께 살펴보자
2019년 9월 원달러환율 1200원대 -> 9월 Repo금리가 올라 연준의 달러공급시작 달러 인덱스 하락 -> 10월 미중스몰딜하면서 대외호재발생 달러 인덱스 하락 (현재 97까지 내려옴. 원화 1150원대)
- 2020년 하반기 미대선까지는 달러 인덱스 하락을 유지할 것이다.
8:23 ISM PMI 지수는 미중 무역분쟁으로 하락했었으나, 1차협의로 상승할 것이다. 경제 회복 -> 달러 하락
- 10:00 유럽경제가 살아나고 있다. 그러면 유로화의 가치가 높아지고(유로화의 강세), 달러화의 가치가 낮아진다. -> 달러 하락
- 11:30 달러가 다시 오르려면
미중무역 분쟁 다시 시작하면 오를 것
금리 인상으로 인해 미국 좀비기업에 영향을 미칠 때 -> 12:55 하이일드 채권 금리 스프레드만 체크하자(회차채 포함).
채권금리가 올라가면 위험하다. 아직은 하단으로 안전한 상태이다.
815머니톡의 2020년 투자의 방향
2020년 중국의 움직임과 글로벌 현황과 전체 자산의 움직임은 어떨지 815머니톡의 이종우 센터장님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시간별 요약은 해당 유튜브 페이지로 가면 댓글에 잘 정리되어 있어 참조하길 바란다.
- 미중 무역 분쟁은 2020년내에 완전 해결은 어려울 것이다.
- 중국은 한국,독일 (일본)을 자기쪽으로 끌어드리려 할 것이다. 2020년 초 한국 방문예정
2025년 한국 기술격차 넘음, 2035년 독일, 2045년 미국 기술을 넘어서려 한다.
- 중국에서 돈 벌기는 자본재(건설) -> 소비재(화장품) -> 앞으로 문화콘텐츠 산업쪽으로 이동해야 한다.
- 2020년 달러/금 투자를 추천하지 않는다. 중국 투자가 좋겠다. 현재 5000에서 3000으로 내려온 상태이다.
중국시장은 한 순간에 확 올라가는 시장이다. 중국은 이전 자본시장의 위기를 학습하였고, 극복하기 위해 충분히 준비하고 있다.
- 유럽 시장이 좋아지고 있다. 파운드화가 오를 것이다. 파운드화(유로화)의 투자 나쁘지 않을 것이다.
유로화는 1.1달러 이하로 떨어지기 어렵다. 노딜 브렉시티등 모든 악재가 다 반영되었다.
- 51:00 부채의 버블은 자산의 버블을 유발할 수 있다. 이것을 조심해야 한다.
부채의 버블: 저금리와 유동성 공급으로 모든 것을 해결 할 수 없다. 언제가는 버블이 생기고 문제를 야기시킬 것이다.
미국, 유럽, 일본이 향후 포함될 수 있다.
- 56:30 자산의 버블
1) 자산가격이 많이 올라가는데 거부감 없이 받아드릴때: 미국시장은 11년간 상승했다. 당연하게 받아드리고 있다. (문제있음)
2) 조금만 어려워지면 금리 내리고 유동성 공급하는 상황: 2009년도 유동성 공급으로 미국시장 단기 40%상승, 현재도 Repo시장 양적완화중
- 미국 2020년 고점에서 내려가도 20%수준일 것이다. IT버블때처럼 기대감으로 상승한 시장이 아니고, 애플/구글/아마존처럼 기술을 통해 수익을 내고 있기 때문에 큰 하락은 없을 것이다. 지금 PER가 18~19로 고점으로 본다. 상승여력이 많지 않다. 가격이 높은 것이 악재이다.
- 1:14 대한민국 2019년 코스피 4% 올랐고 코스닥은 -8%이다. 한국 경제가 망가진게 아니니 시간이 지나면 주식은 가치를 반영한다.
한국 부동산은 고점이다. 문제 생길 가능성이 높다. 가격을 움직이는 요인은 경기가 좋고, 유동성, 저금리, 소득상승 등이다.
부동산은 저금리와 유동성으로 오르고있다. 부동산은 글로벌하게 연동되어 있다. 글로벌 부동산이 떨어지면 같이 떨어진다.
강남 아파트도 가격의 원리로 움직이기 때문에 강남불패는 없다.
오늘은 달러와 금, 글로벌 시장의 흐름과 대한민국 부동산 전망을 훑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