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 마인드/배움
[PER] Pricing Earning Ratio - 주가수익비율
윤영식
2020. 12. 13. 14:29
PER(퍼, 피이알)은 현재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값. 즉, 주가가 순이익의 몇배인지 알 수 있다.
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EPS는 Earning Per Share는 기업의 당기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눈 값. 즉, 주당순이익이란 1주당 벌어들인 순이익이다.
EPS = 당기순이익 / 주식수
- PER는 주식이 비싼지 싼지를 판단하는 기준이다.
- 순이익 * PER를 통해 시가총액을 알 수 있다.
- PER가 낮을 수록 저평가 종목이라 한다.
- PER 10을 주고 당해년 전체 순이익이 100억이라면 시총은 10 * 100 = 1000억이 된다.
- 주의할 것은 시총이 높을 때 PER가 높은지, 전체 순이익이 높은지 살펴야 한다.
- 순이익은 적지만 PER가 높은 것이 있고, 순이익은 많은데 PER가 낮은 경우가 있다.
- 시가총액 = 당기순이익 * 멀티플(Multiple)
- 멀티플은 산업군에 적용되는 시가총액별 배수라고 보면 좋을듯 하다. 보통 제조쪽은 멀티플 10을 본다. 만일 기업의 멀티플을 모른다면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율)를 활용한다.
슈퍼케이 김정환님의 멀티플 계산하기
www.youtube.com/watch?v=Ny0kYmPay80
- 기업의 버는 돈 대비 얼마의 비율을 줘야 시가총액이 되느냐?
- 시가총액 = 버는돈(1년 순이익) * 멀티플
- 멀티플에 ROE(자기자본이익율)를 적용하면 성장성을 보는 것이다. 즉, 성장율 ROE가 높다면 멀티플이 높다.
- 멀티플을 찾는 가중치들
- 성장성: 매출액이 지속늘고, 고정비가 감소하면 자연 이익은 증가한다.
- CEO 마인드
- 기술적 혜자, 특허 보유와 내용
- 멀티플의 기본베이스는 10이다. 즉, 10년동안 현재의 순이익을 벌면 시가총액이 된다. 비록 10이지만 성장성을 통해 이를 줄여나갈 수 있는 기업을 찾는다.
- 멀티플은 끊임없이 기업을 공부해야 줄 수 있는것이지 일괄로 제시할 수 없다.
나 자신의 멀티플에 몇을 줄 수 있는가? 50!!!
<참조>
brunch.co.kr/@thecapitalist/62
# 37. 주식투자 필수 개념 - PER
이 기업의 주가는 싼가, 비싼가를 알려주는 지표 | 의사들은 의사들의 언어가 있고, 변호사들은 변호사들의 언어가 있듯이 주식투자자들에게도 주식투자자들의 언어가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
brunch.co.kr
www.youtube.com/watch?v=Jn2_jOQnqUo
www.youtube.com/watch?v=IxJZYv2JsYY
www.youtube.com/watch?v=sOYlVZ_zbDo